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숙부모상 정확히 아시나요? 백숙부모 의미부터 경조사 기준까지 정리

by 매니스 2025. 5. 4.
반응형

일상 속에서 흔히 듣는 가족 관련 상의 표현들, 예를 들어 부친상, 모친상, 조부모상 등은 익숙하실 거예요.

 

그런데 최근에는 생소한 표현인 백숙부모상이라는 말을 들으며 고개를 갸우뚱하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

 

이 단어, 과연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 말일까요?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백숙부모는 누구를 지칭할까요?

 

오늘은 이 생소하지만 알아두면 유용한 가족 호칭과 경조사 상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백숙부모상 무엇일까?

 

백숙부모상, 말만 들어도 낯설죠?

 

특히 젊은 세대라면 들어본 적도 없을 수 있는데요.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거나 친척 간의 경조사를 챙기다 보면, 이 단어를 마주하게 되는 순간이 찾아오곤 합니다.

 

 

먼저 백숙부모라는 표현부터 풀어볼게요. 이 말은 각각 백부, 백모, 숙부, 숙모를 합쳐서 부르는 말입니다.

  • 백부는 아버지의 형, 즉 큰아버지
  • 백모는 큰어머니
  • 숙부는 아버지의 동생, 즉 작은아버지
  • 숙모는 작은어머니를 뜻하죠

즉, 백숙부모는 아버지의 형제자매 중에서 형제 쪽에 해당하는 분들과 그 배우자를 통칭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백숙부모상’은 큰아버지, 큰어머니, 작은아버지, 작은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를 일컫는 말이 되는 거죠.

 

그렇다면 고모나 이모는 왜 여기에 포함되지 않을까요?

 

 

 

맥주 한병 용량 궁금할 때! 병맥주 ml 정확히 알려드려요

맥주 좋아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특히 더운 날, 시원한 맥주 한잔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데요 😊 그런데 막상 '맥주 한 병에 몇 ml일까?' 궁금했던 적 없으신가요? 캔맥주야 자주 마시니까

ghghghgn.tistory.com

 

 

바로 이 부분이 핵심입니다. 고모나 이모는 백숙부모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법률상 가족의 분류에서 '방계존속'에 해당하기 때문인데요.

 

방계존속이란, 직계가 아닌 측면으로 연결된 윗세대를 말하는 용어입니다.

 

부모, 조부모는 직계존속에 해당되지만, 고모, 이모는 법적으로 방계존속에 분류되는 것이죠. 물론 경조사 기준은 법만 따르지는 않아요.

 

회사나 기관, 또는 지역 사회에 따라 경조 휴가나 부조금의 지급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고모나 이모의 상도 인정해주는 경우가 있지만 대체로 공식적인 경조사 기준에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백부, 숙부는 법적으로도 보다 가까운 혈족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어 백숙부모상이라는 용어가 통용되는 것이죠. 특히 예전에는 가족 간의 유대가 지금보다 훨씬 강했기 때문에 큰아버지나 작은아버지의 역할이 지금보다 중요하게 여겨졌던 사회적 배경도 이 표현의 탄생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평소에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백숙부모상은 친가 쪽 아버지의 형제자매 중 남성 형제와 그 배우자의 사망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정서적으로는 가까운 친척의 부고이기 때문에 슬픔을 함께하는 마음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가족 구조가 점점 핵가족화되면서 이런 표현들이 점차 생소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예의를 중시하는 자리에서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표현이에요.

 

특히 상부상조나 부고 알림, 회사에서의 경조사 처리 시 이런 용어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훨씬 더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답니다.

 

또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런 경조사 기준은 기업별, 단체별로 제각기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에요.

 

같은 백숙부모상이라 하더라도 어떤 회사에서는 조의금이나 경조휴가가 제공되지만, 또 어떤 곳에서는 방계 가족이라며 예외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그러니 실제 상황에서는 소속된 기관의 경조사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